728x90
반응형
MACD ?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는 기술적 분석 지표 중 하나로,
이동평균선을 활용하여 추세 전환 및 강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지표는 빠른 이동평균선과 느린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계산하여 시각화한 그래프입니다.
- MACD 지표 구성 요소
- 빠른 이동평균선(Fast Line): 일반적으로 12일간의 종가 이동평균선을 사용합니다.
- 느린 이동평균선(Slow Line): 일반적으로 26일간의 종가 이동평균선을 사용합니다.
- 신호선(Signal Line): 빠른 이동평균선과 느린 이동평균선의 차이에 대한 9일간의 이동평균선을 사용합니다.
- MACD Histogram: 빠른 이동평균선과 느린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그래프로 시각화한 것입니다.
- MACD 지표 해석
- 빠른 이동평균선이 느린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할 때, MACD Histogram은 양의 값을 갖게 됩니다. 이는 상승추세를 나타내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 반대로 빠른 이동평균선이 느린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할 때, MACD Histogram은 음의 값을 갖게 됩니다. 이는 하락추세를 나타내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 신호선과 MACD Histogram의 교차는 추세 전환 신호로 해석됩니다. MACD Histogram이 양의 값에서 음의 값으로 전환될 때, 추세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로 MACD Histogram이 음의 값에서 양의 값으로 전환될 때, 추세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MACD 지표의 활용 방법
- MACD 지표는 주식, 외환, 암호 화폐 등의 다양한 금융상품에서 사용됩니다.
- MACD 지표를 활용하여 추세 전환을 파악하고, 추세의 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ACD 지표를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하여 거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 MACD 지표를 사용하여 거래할 때는 항상 스탑 로스를 사용하여야 합니다.(100%는 없기에 손실 최소화를 위함)
- MACD 지표의 한계점
- MACD 지표는 이동평균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추세를 따라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갑작스러운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는 신호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MACD 지표는 거래 시기를 결정하는 데에만 사용될 수 있고, 거래 금액이나 거래 방식 등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 MACD 지표는 단일 지표로서 사용될 때 보조적인 지표와 함께 사용해야 정확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MACD를 사용하면서 매수 타점을 잡더라도 매도 타이밍이 어려울 수 있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보통 상기 사진처럼 형태가 나오는 경우에는 추세 반전의 시그널도 있지만, 큰 하락에 의한 기술적 반등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오래 가져가기 힘들다고 판단되는데요.
그런 상황을 대처하기 위해서 다른 지표들도 활용하여야 승률을 더 좋게 가져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제 매매 스타일로는 끝까지 가져가서 어깨, 머리끝에서 판다는 마인드라기 보다는,
짧게 짧게 익절하는 스타일이다보니, 이동 평균선(이평선)의 가파른 각도를 보고 매도 타점을 잡거나,
이동 평균선을 스토 캐스틱에 적용하여 바닥(더블 바텀) or 봉우리(더블 탑)를 확인한 후에 미리 매도를 거는 형식으로 하고 있습니다.
해당 매매 방식은 추후에 게시할 예정이며, 현재로써는 지표들의 정의에 대해서만 다룰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반응형
'지표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지표? (12) | 2023.04.17 |
---|---|
스토캐스틱 RSI(Stochastic RSI) (2) | 2023.03.28 |
RSI[상대강도지수]란? (22) | 2023.03.25 |
이동 평균선(MA)이란? (6) | 2023.03.24 |